Unit 18
~(으)ㄹ 지도 모른다 and ~(으)ㄴ/는 셈이다


~(으)ㄹ지도 모르다 - 동사/형용사

This means, 'might' or 'may'. It is used when something is uncertain.

  • 의학 기술이 발달하면 평균수명이 100세가 될지도 몰라요.
  • 출산율이 낮아지면 아이들이 노약자석에 앉게 될지도 몰라요.
  • 미래에는 전기 자동차가 일반화될지도 몰라요.
  • If medical technology develops, the average lifespan may reach 100.
  • When the birth rate decreases, children may sit in the elderly seats (on the subway).
  • In the future, electric cars may become common.

보기

가: 쿤 씨, 한국 국적을 취득하면 무슨 일을 할지 생각해 봤어요.
나: 제 회사를 경영하고 있을지도 몰라요.

  1. 가: 5년 후에 어떤 계획이 있어요?
    나: 아이를 키우고 있을지도 물라요.
  2. 가: 이렇게 출산율이 점점 낮아지면 어떻게 될까요?
    나: 거리에서 아이를 보기 힘들지도 물라요.
  3. 가: 뉴스를 볼 때마다 불치병을 치료하는 신약이 개발됐다고 하네요.
    나: 맞아요. 미래 사회에서는 평균수명이 100세 이상이 될지도 몰라요.
  4. 가: 평균수명 증가로 인해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대요.
    나: 맞아요. 앞으로는 젊은 세대가 힘들어질지도 몰라요.

~(으)ㄴ/는 셈이다 - 동사/형용사

This means 'You could say...' or 'It's as though...'.

This is a colloquial way of expressing that two things are similar.
  • 토요일만 빼고 일을 하고 있으니까 거의 날마다 일하는 셈이에요.
  • 약속 시간이 6시인데 6시 50분에 만났으니까 거의 1시간을 기다린 셈이에요.
  • 이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 10명 중 한 명은 외국인인 셈이에요.
  • Apart from Saturday, it's as though I'm working almost every day.
  • Although the appointment was at 6, we met at 6.50 so it's as though I waited an hour.
  • Now in Korea, it's as though every 1 person in 10 in a foreigner.

보기

이 책을 18과까지 배웠으니까 다 배운 셈이에요.

  1. 점심을 매일 밖에서 먹으니까 거의 매일 외식하는 셈이에요.
  2. 출산율이 1.2명이니까 부부가 아이 한 명을 낳는 셈이에요.
  3. 한국의 평균수명이 77세니까 노인 대부분이 80세까지는 사는 셈이에요.
  4. 아이를 한 명밖에 안 낳으니까 아이 한 명이 노인 2명을 부양하는 셈이에요.